반응형

끝날 것 같지 않던 봄농사가 오늘로 드디어 끝났습니다. 올봄 사과 농사 2,000여평을 새로 시작하면서 일손이 밀리기 시작했지만 사실 봄농번기에 4번의 행사에 무려 12일이나 봉화군 홍보 행사에 미술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기위한 출장을 다녀오는 등 외유를 하다보니 일손을 놓치지 않을 재간이 없었습니다.

부랴부랴 멀리 진해에서 동생까지 불러올려
한낮의 뜨거운 햇살을 마다않고 밀어붙인 덕분에
오늘 팥과 기장, 수수 파종을 마치고,
집텃밭에 파모종까지 정식을 하고나니 이제사 봄이 지나고
여름이 온것 같습니다.
게으른 농사꾼이 이제사 봄농사를 끝냈지만 
그래도 큰 강을 건넌듯 뿌듯하고 흐뭇합니다.



항상 한해 농사를 마치고 나면
'내년에는 어떻게 농사를 지어야지' 혹은
'내년에는 이러지 말아야지'하는 다짐을 하게 됩니다.
저가 매년 하는 다짐 중의 하나가 '내년에는 일손을 놓치지 말자'입니다.
하지만 해가 바뀌고 새 농사가 시작되면 이내 일에 쫒기기 시작하고
결국 손을 놓쳐 밭의 일부를 묵히곤합니다.
그래서 새로 하게된 다짐이 '농사를 추스릴 수 있을 만치만 벌이자' 입니다.



그렇다고해서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닙니다.
꼭 봄이면 새로 시작하는 마음이 다 그렇겠지만
무엇이라도 해 낼 것 같고,
다 잘 될 것 같은 마음입니다.
하지만 4월이 지나면 점점 불안해 지기 시작하고
5월이면 이미 작기를 놓치기 시작해서
6월이면 이미 수습이 불가능해서 손을 놓는 작목이 생겨납니다.

예년에 비해서 올해는 그래도 일손을 따라잡아 아직까지는 손을 놓은 작목은 없습니다.
면적은 많지 않지만 감자, 고구마, 고추는 지금까지 잘 자라고 있습니다.
재작년에 바이러스로 수확을 전혀 못했던 감자도 잘 자라고 있고,
500여평을 심은 고추도 현재까지는 진디물도 없이 무럭무럭 잘 자라고 있습니니다.

고구마도 미리 심은 놈은 활착이 되어 줄기가 뻣기 시작했고,
야콘, 땅콩, 속청은 모종을 해서 본밭에 정식을 잘 마쳤고,
팥, 쥐눈이콩, 수수, 기장 등은 이제야 파종을 마쳤습니다.
돈이 될만한 농사는 없지만 그래도 작목은 가지가지 골고루 심은 올해 농사가
한여름 퇴얔볕아래 무럭무럭 자라, 모진 비바람과 병해충을 다 이기고
풍성한 결실을 가져왔으면 좋겠습니다. 

게으른 비나리농부는 오늘부터 풍요롭고 행복한 가을을 기다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가을걷이가 끝나면 '이놈에 농사 다시는 안한다'는 말을 입에 달고 다니는 이웃이 한둘이 아닙니다. 그러다가 긴 겨울 휴식을 보내고 입춘이 지나고 우수가 다가오면 너도 나도 언제 그랬냐는 듯 시작하는게 농사입니다. 농사가 업이다보니 그럴 수 밖에 없기도 하지만 농사가 가지는 묘한 중독성도 무시 못할 이유인 것 같습니다.


농부가 씨를 뿌린다는 것의 의미는 경제 활동으로만 이해한 투자라는 개념과 조금은 다릅니다.
농부가 뿌리는 고추씨는 수확후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투자와는 다른, 안될 줄 알면서도 할 수밖에 없는 어떤 숙명성 같은 것을 지니고 있습니다. 항상 그것이 무엇인지 궁금하기도 하고, 또 숙명처럼 돈 안되는 농사를 지어야되는 이웃 어르신의 삶이 솔직히 안타까울 때도 있습니다. 
저 자신이 농사가 업이고 그래서 똑같이 가을이면 '이놈에 농사 때려치운다'고 떠들고 다니다가 이렇게 입춘이 지나고 집앞 개울에 얼음이 녹아 물흐르는 소리가 들리면 언제 그랬냐는 듯, 고추 종자를 뭘로 할지, 농사 일정을 어떻게 잡을지 고민하기 시작합니다.
사실 스스로 선택한 삶에 대한 괜한 집착인지도 모르겠지만 아직까지 농사를 포기할 생각은 없습니다. 그렇다고 농사를 통한 비젼 같은 것도 가지고 있질 못합니다. 어떤 분들은 농촌공동체가 신자유주의가 지배하는 현대 사회의 폐해를 줄이거나 치유해줄 새로운 대안공동체로 받아들이고 귀농켐페인을 사회운동차원에서 수행하시기도 합니다. 또 어떤 분들은 생명을 다루는 농업이 가진 특성에  몰입해 자연파괴적이고 반생명적인 현대 산업사회의 병폐를 치유하고, 근본적으로 인간의 삶을 바꿀 수 있는 기획으로 농업을 받아들입니다. 이런 분들은 자연 농업을 넘어 도시농업으로 까지 농업의 영역을 확대하기도 하고, 농업의 산업 경쟁력보다는 경제적 가치로 환원할 수 없는 자연적 사회적 순기능에 촛점을 맞춰 농업을 이해합니다. 

생태주의자를 넘어 농업근분주의자에 가까운 분들의 많은 주장이 충분이 이해가 가고 공감이 가지만 평균적인 욕망을 가진 저같은 보통사람이 실천을 하기에는 어려운, 그래서 그런 분들을 존경을 하되 감히 따라가지 못하는 형편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그냥 농사 짓는 일이 다른 직업에 비해 속박이 적고 자유스러울 뿐아니라, 자연과 더불어 즐기면서 할 수 있는 직업이라서 선택한 것뿐입니다. 
사실 농업에 대한 수많은 가치부여는 어제 오늘이 아닙니다. 예로부터 '농자천하지대본야'라고 하기도 하고 현대에 들어서는 '농업의 발전 정도는 선진국이 되는 척도'라는 등의 농업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참 좋은 말들이 많습니다. 누구는 정치적 수사로 그런 좋은 말들을 들먹였지만, 또 어떤 분들은 진정으로 건실한 농업이 번성하고 농민이 대접받는 세상에 대한 희망을 담아 그럴 말씀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런 좋은 말들이 농업을 경시하는 세력이나 최소한 도시민을 향해 주장되어야 하는데 현실은 경제적 문화적 소외로 고통받는 농민에 대한 위무용 립서비스로 사용되는 경우가 더 많아 보입니다. 그러다보니 농민 스스로 그런 말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단지 비소할 따름입니다. 

생명을 다루는 농업, 자연과 환경에 순응하는 농업, 인간의 보다 고양된 삶을 가능하게 하는 원리를 제공하는 농업, 인간을 지속가능한 삶으로 인도하는  농업... 사실 농업은 이 모든 위대한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고 인정합니다. 그리고 저는 개인적으로 그런 농업에 종사하는 저 자신의 삶에 대해 뿌듯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도직입적으로 말해 그런 이데올로기만으로 농민을 농업에 묶어두는 시대는 끝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당당하게 나는 농민이라고 자부할 수 있는 사회적 보상체계가 만들어 지고,가업으로 자식에게 농업을 물려줄 수 있는 사회적 풍토가 마련되는 세상이 되어야 합니다. 어떻게 농민의 삶이 그런 가치있는 삶으로 사회적 인정을 받을 수 있을지 아직은 모르겠지만 말입니다.
2010년 봄, 14해째 농사를 시작하기에 앞서 쓸데없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