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간 문명의 발전은 아마 공감능력의 확대와 보조를 같이할 겁니다.
나의 고통이 전부인 단계에서 가족의 안위를 걱정하는 단계로,
그리고 씨족과 부족을 넘어 민족과 국가의 안위를
자신의 삶과 일치시켜나가는 단계로 이어졌을 것입니다.
더 나아가 인류애라는 인간에 대한 보편적 사랑이
일반화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언제부턴가 인류를 넘어
생명 가진 모든 것에 대한 자비와 연민이 화두가 되는 세상이
열리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이 모든 단계는 시간적 전후와 무관하게 
서로 얽히고 섥혀 중첩되기도 합니다.

부처님이 오신날 저는 밭에 일을 나갔습니다.
작년 봄에 심어 놓고 그 동안 돌보지 못한 사과나무를 살펴보고,
활착에 실패해 말라죽은 나무를 뽑고
새 나무를 심기위해서 였습니다.

하루의 고단한 일과를 마칠 때쯤,
밭 한가운데서 놓여있는 덫을 발견했습니다.

처음에는 왜 덫이 내 사과밭 한가운데에 있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농산물 피해가 있어도
덫을 이용해 산짐승을 해치는 것에 반감을 가지신 분이

누군가 설치해 놓은 덫을 뜯어 내 밭에 던져놓았나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하지만 덫 가까이에 다가가 살펴보는 순간
섬짓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조그마한 고라니의 발목이 덫에  끼여있었습니다.
유추해보니 덫에 끼인 고라니가
어떻게 발버둥을 치다 덫을 매어놓은 줄이 풀리고
발목을 파고 드는 덫의 쇠이빨에 고통 받으면서
발목이 썩어 절단될 동안 덫을 달고 다니다가
내 사과밭에 와서야 섞은 발목과 함께 덫을
내려놓을 수 있었든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그나마 생명을 건지고,
발목과 함께지만 살을 파고 드는 덫의 쇠이빨로부터
벗어난 고라니의 눈물어린 눈빛에
슬픈 안도의 빛이 돌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뭏튼 덫의 이빨에 여전히 물려있는  
고라니의 떨어진 발목을 바라다 보면서

고라니의 고통과 인간의 삶을 생각해 봅니다.
비나리 같은 산간마을은 고라니등의 산짐승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심각합니다.

그러다보니 어떻게든 산짐승을 몰아내고 농산물을 지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게 됩니다.

극약을 묻힌 곡식으로 산새들을 잡기도하고 
여러가지 덫으로 산돼지나 고라니를 잡기도합니다.
물론 총으로 이루어지는 사냥도 가장 일반적인 방법의 하나입니다.

저는 농사를 짓고 산짐승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매년 당하지만
그냥 참고 사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지 10여년이 되었습니다.
그렇다고 산짐승을 잡는 이웃 농민을 욕하진 못합니다.
그분들의 피해도 보통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최소한 덫처럼 극단적인 고통을 주는 
산짐승 대처 방법은 피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다른 방법을 찾아 고라니를 쫒아버리든지,
꼭 죽여야 하다고해도 고통을 덜 주는 방법을 찾았으면  좋겠습니다.


나의 사과밭에 자신의 발목과 함께
덫을 남겨놓은 고라니의 고통을 통해

생명 누리는 것들간의 공감과 자비를 꿈꿔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