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슐라르의 새로운 과학정신
- 과학과 예술의 관계에 적용될 철학의 가능성
-
어렵게 바슐라르를 읽었다. 사실 길지 않은 글에 너무나 많은 내용을 담고 있어 이것을 다시 축약한다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 노동으로 느껴질 정도였다. 지금까지 나는 바슐라르를 철학자라기 보다는 ‘예술’철학자로 이해하고 있었다. 물, 불 등 상상력의 4대근원에 대한 글을 오래전에 읽었던 것으로도 기억된다. 하지만 알고보니 바슐라르는 콩트의 문제의식과 같은 선상에서 당대 과학의 발전을 토대로 한 실증정신을 확립하여 ‘새로운 과학정신’을 수립코자 시도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제시된 그의 인식론은 과학을 넘어 예술의 영역에까지 적용코자 시도했고, 그 시도의 결과가 바로 저가 이전에 읽었던 바슐라르의 저작들이었나 보다. 하지만 아쉽게도
먼저 바슐라르는 ‘새로운 과학정신’에 입각한 인식론을 수립하기 위해 과학의 불연속적 발전에 주목하고 이를 ‘지속적 단절’로 개념화한다. 그는 상식과 감각, 또는 기존 이론의 전제 등 새로운 문제의 해결을 가로막는 ‘인식의 걸림돌’을 문제를 발생시킨 인식의 틀을 대체함으로써 해소하는 것을 ‘인식적 단절’이라고 보고, 이런 단절은 과학의 거시적 역사는 미시적 차원에서 상시적으로 지속된다는 의미에서 바로 ‘지속적 단절’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는 과학이 현상영역이 아니라 그와 같은 현상을 산출하는 근원인 본체를 이해할 수 있다고 보는 비실증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하는데 이는 인간의 창조성이 현상을 만들어내는 만치 그 현상의 배후가 되는 본체를 이해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여기서 그가 제시한 방법론이 바로 ‘현상-기술’ 개념이다. 이 개념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바슐라르는 현상과 본체의 괴리를 극복하는 인식론적 단절을 넘어 ‘인간존재론 차원의 단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열린 정신의 ‘합리적 유물론’에 도달 할 수 있고, ‘폐쇄적 코기토’에서 ‘실천적 코기토’로 나아갈 수 있다고 제시한다.
이렇게 주어진 ‘인식의 걸림돌’과 맞서는 능동성을 욕망과 욕구의 구분에서 찾고 꿈을 향한 욕망의 무한 긍정을 통해 주관적 심리적 오류를 극복하고 단절과 상승의 원동력을 회복할 것을 주문한다. 바슐라르는 현실적 유용성에 바탕을 둔 욕구와 상상력의 원천인 욕망을 구분한다. 그는 욕구가 만들어내 주관적 오류는 사이비과학을 낳는데 반해 욕망에 원천한 꿈의 역동성은 진정한 과학의 역사를 낳는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과학사의 불연속과 귀납적 종합을 규명하며, 신생이론과 선행이론 사이의 관계에 적용되는 개념으로 ‘형이상학적 귀납’ ‘포섭’을 제시하기도 한다.
바슐라르의 인식론은 ‘오류에 대한 개방성’을 ‘새로운’ 특성으로 하며 기존의 합리성에서 벗어난 꿈, 상상력, 욕망, 의지 같은 개념을 원동력으로 포함시켰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물론 푸코에 와서 무한 긍정되는 비합리적 요소가 여전히 ‘긍정적 억압’의 통제 대상으로 남아있기는 하지만 말이다.
'콩밭에서 읽는 책 > 철없는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병철의 피로사회가 진단한 현대의 삶 1/2 (0) | 2016.04.09 |
---|---|
이지훈, "분석철학의 발흥, 프레게와 러셀",[현대철학의 모험] (0) | 2011.06.07 |
이지훈의 "미셸 세르의 인식론 : 공존의 모색", [현대철학의 모험] (0) | 2011.06.03 |
이지훈의 “콩트와 실증주의 인식론의 기초”, [현대철학의 모험] (0) | 2011.06.03 |
철없는 어른들의 철늦은 철학공부 (2) | 2011.06.03 |
다시하는 철학공부 (10) | 2010.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