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딱 8년전이다. 지역을 좀더 알고 건강도 챙기자는 마음으로 마을길 걷기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동행없이 우리 부부만 걸었는데 두번째 부터는 이웃들과 같이 하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공지를 했다. 예상밖으로 많은 분들이 걸음에 동참했던 첫길이 북곡리 윗뒤실 길이다.

처음 시작한 마을길 걷기는 오래가지 못하고 중단되었지만, 2년전 좋은 친구들 덕분에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 덕분에 어제 다시 8년전 그 길을 걸었다.  이번에는 좀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지난 8년의 세월을 지고 걸었다. 그때 손을 잡고 같이 걸었던 이웃 아이들은 다 자라 마을을 떠났고 40대 중반의 동행들은 오롯이 50대 중반의 중년으로 바뀌었다. 그땐 분명히 지역학교와 교육의 문제가 화두였었는데 어제는 건강이 단연 화제의 중심이었다. 투병중인 동행이 있어 더 그랬겠지만 어떻게 건강한 삶이 가능한지 그리고 현대 의료의 문제와 대체의학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가 산길 내내 이어졌다.

걷기는 아침 9시 명호면 북곡리 소재, 폐교된 북곡분교에서 시작했다.  목적지 재산면 남면리에 있는 역시 폐교된 남면분교장까지 10km의 거리를  청량산과 문명산이 만나는 능선을 타고 걷는 길이었다. 북교초등학교를 나와 윗뒤실까지 가파른 마을길을 걸으며 고개를 돌려 멀리 만리산자락의 마을을 건너다 보는 것도 좋았고, 청량산 북쪽 사면의 언덕길을 오르며  햇살속에 번지는 청량산의 자태를 바라다 보는 것도 너무 좋았다. 게곡에는 아직 두터운 얼음이 얼어있었지만 알게 모르게 느껴지는 봄기운을 느낄수 있어 좋았고, 끝나가는 겨울과 아직 시작하지 못한 봄이 만나는 경계에서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과 같이 있어 더욱 좋았다.

윗뒤실 마을 입구 당나무 아래서 간식을 나누며 쉬다가 마을을 가로질러 비포장을 길을 접어들었다.  청량산 자소봉과 장인봉 사이의 하늘다리가 보이고 봄의 기운이 번지는 탓일까, 엷은 안개가 산을 휘감고 역광 속에서 겹겹히 드러나는 청량산의 자태가 너무나 신령했다.  길의 정상부위였던 지명이 '옥새이'에 펼쳐져 있던 빈밭이 인상적이었는데 새로 난 길은 옥새이를 거치지 않고 거리를 줄이며 바로 천애수쪽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천애수를 지나며 뒤돌아 보는 천량산의 산새가 아름다웠는데 남면리 쪽으로 난데 없는 댐이 새로 만들어져 있었다.

100억원의 돈을 들여 작년 연말에 완공했다는데 댐의 용도는  '다목적 농촌용수 댐'이라고 했다. 완공된지 얼마되지 않아서겠지만 댐은 비어 있었고,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시야를 압도했다. 하지만 저 정도의 돈으로 산과 계곡을 밀어 만들어진 댐이  얼마나 소용에 닿을지는 알 수 없었다. 자연과 마을을 만나기 위해 걷던 중에 만난 이질적인 풍경은 뒷맛이 무지 썼다. 

이번 마을길 걷기는 아이들이 떠나고 없는 빈 교정에서 시작해 또 다른 마을의 빈교정에서 끝났다. 아이들이 떠난 학교에서 빈손으로 와서 빈손으로 돌아가는 법을 배우며 끝나가는 겨울의 하루를 만끽했다. 이제 곧 봄이오면 교정에는 다시 풀이 자라고 들꽃이 피어나겠지? 그렇다고 떠나간 아이들은 돌아오지는 않을 것이지만 그래도 햇살 가득한 봄 교정에서 좋은 친구들과 다시 한번 마을의 삶을 느끼고 싶다.

---------

이날 걷기가 끝난뒤 쓴맛은  남긴 또 하나의 화두가 있었다. 소위 귀농자와 현지 주민과의 갈등에 관한 것인데 내 스스로 봉화에 농부로 정착한지 20여년을 넘기다보니 양쪽으로 부터 다른 입장의 말을 들어야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사실 나는 귀농인과 현지인을 나누는 것 자체를 반대할 뿐아니라, 각각이 상대를 이해하는 부정적인 내용의 대부분을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농업농촌정책에서 귀농정책으로 특화해 차별적인 지원을 하는 방식의 정책에도 동의하지 않으며, 농업농촌의 문제가 해결될 때 농민의 재생산 문제는 큰 틀에서는 저절로 해소될 것이라고 보는 입장이다.

사실 귀농인에 대한 차별적 지원이 현지인에게는 박탈감을 주고, 현지인의 귀농인에 대한 시각을 왜곡하는 측면이 강하다. 그리고 지방권력은 자신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가로막기위해 귀농인을 관변화하고 또 하나의 기득권으로 육성하기도 한다. 그러다보니 현주민들은 귀농자들이 원재 자신의 몫이어야할 농업 예산을 따 빼아간다는 느낌을 가지게 되고, 귀농자들은 자신이 막닥뜨리는 지방 유지나 토호의 특권적 행태를 현주민 일반의 경우로 확대 해석하게 된다. 대부분 갈등의 경우 각자의 인격이 문제겠지만 제도적 문제는 이와 같은 갈등을 조장한다고 본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