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가 떨어진 산골마을은 지나가는 바람소리와 산짐승 울음소리만 간혹 정적을 깰뿐 사람 사는 흔적은 자취를 감춘다. 하지만 이날은 달랐다. 어둠이 설금설금 마을을 삼키려들자 분주한 발걸음 소리가 들리기 시작하고 두런두런 사람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급히 저녁을 드시고 이골저골에서 소문을 들으신 주민들이 하나둘 비나리마을학교로 모여들었기 때문이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비나리상영회] 플랭카드가 펄럭이는 비나리마을학교는 이날만은 어둠을 이기고 빛이 마을의 밤을 지배했다.

사실 “여성영화상영회”를 비나리마을에서 갖기로 약속을 받고 보니 멋진 타이틀에 걸맞는 주민들의 관심을 모을 수 있을까 걱정이 태산같았다. 밭둑에서 마주친 이웃 아주머니께 영화보러 오시라고 권하면서도 혹시 “먹고 살기도 힘든데 뭔놈의 영화?”라고 타박이나 하지 않으실까 걱정이 앞섰다. 가난한 산골마을이지만 그래도 TV는 없는 집이 없고 그러다보니 드라마다 뭐다 할 것 없이 넘치는 영상 속에 빠져사는 게 현실인데, ‘영화’는 또 무엇이 다른지 설명하기가 쉽지 않았다. TV가 유일한 낙이자 문화매체인 산골마을에서 한편의 영화를 튼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는 생각이 든 것도 사실이다.

 

[정정엽작 제 14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포스터]

영화 상영 시간이 다가오자 비나리마을학교를 밝히던 불빛이 꺼지고, 왁작지껄 떠들던 사람 소리가 죽어들었다. 대신 마을학교 강단 가득 반짝이는 할머니 할아버지의 눈빛이 넘쳐나기 시작했다. 이웃의 잔기침 소리와 산만한 아이들의 분주함이 잦아들고, 순간 화면가득 스위스 산록의 아름다운 마을이 우리의 시야를 압도했다. [할머니와 란제리]! 스위스의 아름다운 산골마을에서 일어나는 소소한 일상만으로도 정감이 넘쳐났지만 그 속에서 살아가는 할머니들의 이야기에 더 큰 공감이 갔다. 그래서 일까? 비나리마을과 크게 다르지 않은 산골마을에서 한명의 할머니로 살아간다는 것이 갖는 비슷한 처지에 공감하는 관객들의 맞장구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유쾌한 할머니들의 반란이 끝나고 크게 한판 웃음과 박수가 쏱아지고 난 다음 여성영화제 관계자의 사회로 간단한 영화감상평을 나누는 대화의 시간이 이어졌다.

30년만에 영화를 보셨다는 멀리 만리산에서 달려오신 아주머니, 할머니들의 승리에 속이 다 시원하다는 북곡리 아주머니, 할머니가 속옷장사하시겠다면 ‘쪽 팔릴것 같다’는 중학생 남자아이, 그냥 이렇게 주민이 모여 같이 영화를 보는 것 자체만으로도 뿌듯하고 좋다는 도천리 주민, 그리고 도시 못지않게 우리 비나리마을도 문화와 예술이 넘쳐나는 곳으로 만들어 나갔으면 좋겠다는 이웃 아저씨까지 솔직 담백한 이야기가 계속 이어졌다. 밤이 깊어 한분두분 집으로 돌아가고, 미련이 남는 사람은 남아 막걸리 잔을 기울였다.

상영회를 다 마무리하고 나니 처음 가졌던 걱정이 얼마나 터무니 없었는지 확인이 되었다. 산골 할머니 할아버지가 영화에 무슨 관심을 보이겠냐는 생각은 짧은 소견머리가 낳은 편견에 불과했다. 그리고 가장 보수적인 지역 정서에 여성주의 영화가 거부감을 주지나 않을지, 혹시라고 격한 내용들로 주민들을 자극하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도 괜한 기우였다. [할머니와 란제리]의 내용이 그렇지 않기도 했지만 설령 격한 내용을 담은 다른 영화가 상영된다고 해도 주민들은 벌써 나름의 시야를 가지고 보다 폭넓게 소화해낼 자질을 다 갖추고 있을 것같았다.

이번 상영회를 통해 터득한 한 가지가 또 있다. 영상이 넘쳐나는 시대지만 영화는 같이 보는 재미에 보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영화를 혼자 몰입해서 보는 것도 좋지만 이웃과 더불어 같이 분노하고 같이 기뻐하며 맞장구로 공감을 나누며 보는 영화는 또 다른 맛을 가지고 있었다.

산골마을 비나리에 좋은 영화를 매개로 주민이 함께 할 수 있었던 기회를 주신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 감사드린다.

송성일 비나리마을학교 대표

<2012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뉴스레터 원고>

반응형
반응형

10월 22일, 정신없는 하루를 시작했다.

11월14일 여릴 예정인 아내의 개인전에  앞서  헥사곤이라는 출판사를 통해

한국 현대미술선의 한권으로 작품집을 내게 되었다.

그 책에 들어갈 예정이지만 촬영이 안된 작품 몇점을 차에 싣고

서초동 포토리스트로 향했다.

이런 저런 일정 때문에 아침 9시에 약속을 잡아 놓고 5시 반에 집을 나섰다.

원주를 지나갈 때나 되어 아침 안개가 가쉬고

쾌청한 하늘이 하루의 즐거운 여정을 예정케 했지만 갈길은 멀고 할일도 많았다.

난생 처음으로 시속 170km까지 밟아가며 도착한 서울은 진입단계에서 정체가 시작되었다.

그래도 서둔 덕분인지 포토리스트에 도착후

아침 식사까지 하고나서야 사장님이 출근을 하고 촬영에 들어갔다.

 

촬영시간은 예정대로 끝나고 다시 을지로에 있는 헥사곤으로 향했다.

큰 사무실에 일인 출판사업자들이 곽들어찬 말로만 듣던 그런 사무실 분위기는 열기에 가득했지만 왠지 좀 서글픈  느낌이다.

내가 만약 을지로 인쇄골목을 떠나지 않았다면 아마 지금 이런 사무실에서 일인 출판 편집일을 하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도서출판 헥사곤 대표님과 아내 류준화의 재미없고 긴 협의가 진행되는 동안 나는 차에서 잠시 눈을 붙였다. 그리고 협의를 끝낸 아내를 싣고 한전아트센타에서 시작한 [Woman + Body 전] 2차 전시가 열리는 전남 광주의 광주 문화재단 미디어큐브로 향했다. 막임없이 달리느 고속도로를 스쳐 낯익지만 다른 느낌의 산천을 두눈 가득담다보니 어느새 광주다.

혁명의 도시 광주는 근 10년 만이다. 10여년 전쯤 장성군의 한 산꼴짜기 마을의 작은 미술관 개관식에 초대 받아 갔던 길이었을 것이다. 오는 길에 광주를 들러 광주민중항쟁중에 산화하신 민주 영령을 기리기 위해 어린 딸아이와 참배를 했던 기억이 새롭다.

 

광주 비엔날레가 열리고 있는 광주는 여전히 낯선 도시지만

아직 거리거리마다 민중의 함성이 남아 있는 듯 

가슴을 들떠게 했다.

오픈 시간에 임박해 광주문화재단 미디어큐브에 도착했다.

한전아트센타전 때 처음 뵈었던 큐레이트 탁혜성님을 다시 뵙고 이내

낯익은 한국 여성 문화계의 인사이지 아내의 동료들과 조우했다.

박영숙 선생님, 윤석남선생님, 정정엽 선생님이 반가이 맞아 주셨고,

늘 이런 자리에 함께하시는 시인 김혜순선생님도 같이 하고 계셨다.

 

오픈은 늘 설레이면서 또 부담스럽기도 하지만 이날 오픈은

조금 정도가 심했다. 계속되는 인사말이 이어지고

작가들은 조금씩 지쳐가는 듯했다.

그사이 나는 전시장을 살피며

한국 여성미술의 정점과 조우하는 호사를 누렸다.

미국작가와 한국작가가 '여성'과 '몸'을 테마로 모인 전시를 호기롭게 기획한

큐레이트 탁혜성씨의 노력이 덧보이는 전시였지만

주제의식이 뚜렷하지 않다는 나의 주제 넘는 지적에

아내는 그래도 한국 미술풍토에서

이렇게라도 페미니즘미술이 한자리에 모일수 있게 된 것 만으로도

충분히 의미있다고 받아쳤다.

 

아뭏튼 좋은 작가와 좋은 작품을 만나고

또 광주 변두리의 한 한옥마을에서

먼길을 달려온 작가분들과 따뜻한 저녁시간과 밤을 함께하고

얇은 잠을 자고 아침을 같이 나누고서야 봉화로 향했다.

일박이일의 긴여행을 마무리하고 돌아오는 길 내내

미술과 작가의 삶에 대해, 한국사회에서 여성의 삶에 대해,

그리고 아내 류준화의 작업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가며

깊어가는 가을 산천을 만끽했다.

 

 

 

 

 

 

 

 

 

 



반응형
반응형

 


 

 

 

 

연일 성폭행, 성추행 관련 뉴스가 언론을 도배하다시피 하고 있습니다. 1960년대부터 많은 여성작가에 의해 월경과 임신 그리고 여성의 욕망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몸에 대한 다양한 작품이 표현되어 왔습니다. ‘90년대에 들어서부터 AIDS나 성형과 같은 주제까지 결합하며 몸에 대한 새로운 담론들이 등장하고 표현되어 왔지만 여전히 여성의 몸이 남성 욕망의 대상으로 읽혀지고 있다는 방증일 것입니다.

이번 전시는 여성 + 몸이라는 큰 타이틀 아래 1) 여성의 시각으로 보는 여성의 몸, 2) 변신- 성형, 트랜스젠더, 바디아트, 위장과 변이 등을 포함한 변형된 신체, 3) 여성작가의 시각으로 보는 남성의 몸이라는 부제를 가지고 기획되었습니다.

여성의 시각에서 인체를 바라보고 인체를 통해 사람을 그리고 세상을 재해석하는 작업들이 모두 한자리에 모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여성작가의 시각으로 보는 남성의 몸은 전통적인 남성 이미지뿐만 아니라 외부 시각에 예민해진 변화된 현대남성들의 모습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는 남/녀의 구분이나 대립적 시각보다는 제3의 경계 혹은 해석에 주목하였습니다. 또한, 소통과 화해라는 화두가 대세인 요즘 개인으로 활동하던 여성 작가들을 한자리에 모으고, 또 거리와 문화적 차이가 있는 지역의 작가들을 모아 인체라는 주제를 통해 다름과 차이점보다는 다양성과 그 다양성의 시각이 모여서 만드는 조화와 공존의 힘을 나타내고자 하였습니다. 이렇게 함께 함으로 얻어지는 부차적인 이익- 여성작가들의 네트워크화, 여성작가의 전시 기회 확대,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여성작가들에 대한 평가 기회 제공- 에도 주목하였습니다. 미 전역에 걸쳐 30개가 넘는 지부를 운영하고 있는 WCA와의 연합 전은 70년대 초반부터 활동해 온 그들의 역사와 노하우를 배우고 네트워크를 확장함으로써 서로에게 보다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합니다.

- 큐레이터 탁혜성



<후원>

한전아트센터, 광주문화재단, Women’s Caucus for Art

<전시일정 및 장소>

한전아트센터 KEPCO Gallery; 2012년 10월 13일(토)-10월 19일(금)

오프닝 2010년 10월 13일(토) 오후 4시

광주문화재단 내 미디어큐브338; 2012년 10월 23일(화) ~ 11월 6일(화)

오프닝 2010년 10월 23일 화요일 5시

<참여 작가>

한국측 참여작가 : 권민경, 김미루,김민형, 김은주, 김주연, 난다, 류준화, 박영숙, 변현수, 유현경, 윤석남, 윤성희, 이림, 이자연,이주리, 정정엽, 주하영

미국측 참여작가 : Ann Rowles, Brenda Oelbaum,Chanel Govreau, C.M. Judge and Paula Rendino Zaents, Elaine Alibrandi,Jessica Burke, Krista Jiannacopoulos, Karen Purdy,Laurie Edison, Lee Lee,Mary Shisler, Pamela Flynn, Patricia Tinajero, Priscilla Otani, Sandra Mueller,Sheri Klein, Sherri Cornett, Tracy Brown, Trix Rosen

반응형
반응형

'트렁크갤러리 81' 오프닝페어

'Trunk Gallery 81' Opening Fair   2010_1214 ▶ 2011_0131

구본창_Female Nude 1_젤라틴 실버 프린트_40×50cm_2003 이민호_Portable LandscapeⅢ n.19_디지털 C프린트_53×65cm_2009

초대일시_2010_1214_화요일_05:00pm

참여작가 구본창_구성연_김대수_김정욱_김진숙_박영숙_배찬효 류준화_송유림_윤석남_이민호_이정록_이피_임양환 임택_장성은_정정엽_주재환_최병관_하인선_히로미

관람시간 / 11:00am~06:00pm

트렁크갤러리 81_TRUNK GALLERY 81 서울 종로구 인사11길 22(구, 견지동 81번지) Tel. +82.2.3210.1233 www.trunkgallery.com

트렁크갤러리가 서울시 종로구 소격동에 2007년 2월에 문을 열고, 한국 미술계에 사진미디어로 Art Work을 하는 Photo Artist들을 지지하며 작가작품 프로모션과 판매를 감당해내겠다며 발한지 벌서 3년을 지나 4년째를 맞게 되었습니다. 그간 많은 Photo Artist들의 열과 성을 다한 작품 활동과 그 작가작품들에 대한 호응과 소통의 방법으로 나타난 컬렉터들의 컬렉션이 오늘의 트렁크갤러리의 입지를 이루어내게 되었답니다. 진정 감사하지 않을 수 없는 사실입니다. 여러분들의 지지와 찬사, 바로 트렁크갤러리를 신뢰하고 사랑해주신 여러분들의 크신 공로 그 덕분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정정엽_Green Bean_캔버스에 유채_73×61cm_2010 이피_눈떨림 The Eye Cloud_종이에 아크릴채색, 수채_28×37cm_2010

이에 힘입어, 트렁크갤러리는 또다른 새로운 공간, 젊은 작가들을 발굴하는 공간인 트렁크갤러리의 인큐베이터, "트렁크갤러리 81"를 오픈하게 되었답니다. 작고 아담한 공간입니다. 작가의 한 시리즈작업 정도를 보여줄 수 있는 인사11길에 자리하는 전시공간입니다.

주재환_쥐와 고양이_색종이, 스티커_29×21cm_2010 류준화_3_캔버스에 아크릴채색, 콘테, 석회_72.7×60.5cm_2009

이 공간의 "場"을 열기 위한 작은 아트페어, "트렁크갤러리 81 오프닝페어"를 준비했습니다. 지금 우리들은 크리스마스와 연말을 맞고 있습니다. 여기 "트렁크갤러리 81"에 작은 소품들을 마련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박영숙

구성연_사탕시리즈 C04_라이트젯 C프린트_60×90cm_2009

트렁크갤러리 81 트렁크갤러리 81은 신진작가들의 성장을 독려하고 그들을 발굴하기 위한 공간입니다. 8평 정도의 개인전 하기의 최적인 공간입니다. 2011년 3월 이후로 개인전을 준비하시는 많은 작가분들의 대관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 대관기간_화요일 개관 ~ 월요일 종관 (총 7일) - 대관료_주 당 1,500,000(일금 백오십만원) + VAT 10%(일금 십오만원) = 총 1,650,000원(일금 백육십오만원)    * 계약금_대관료의 30%(일금 사십오만원) - 문의_E-mail_trunkgallery@naver.com | Tel. +82.2.3210.1233

Vol.20101216e | '트렁크갤러리 81' 오프닝페어


반응형
반응형

지난 2일에 헤이리에 있는 '리앤박갤러리'에서 아내 류준화와 아내의 친구 정접엽의 2인전이 열렸다. 이번 전시는 헤이리의 갤러리들이 연합해 작년부터 시작한 [아트로트 77] 행사의 일환으로 올해는 '11인의 발견'이라는 타이틀로 6개의 갤러리와 11명의 작가가 참가한 행사다.
 
덕분에 바쁜 농사철임에도 불구하고 트럭을 몰고 헤이리 나들이를 했다. 화가의 남편은 기본적으로 트럭운전은 할줄 알아야하고, 그리고 힘까지 세어야 한다. 드러는 갤러리에서 직접 운송을 책임지고 차량을 보내주기도하지만, 가끔 씩은 그림을 싣고 서울로 부산으로 나들이를 떠나야할 경우도 있다. 더군다나 직접 전시장 벽면에 그림을 걸게 될 때는 숨겨둔 힘까지 동원해서 아내에게 능력을 과시해야만 한다.
 
이번 전시가 그런 경우였지만 다행히 갤러리 측에서 그림 디스플레이를 도와주는 바람에 나는 먼길 운전을 핑게되고 헤이리의 한낮을 차안에서 단잠을 자며 보낼 수 있었다.

가끔씩하는 도시나들이가 산골사는 사람한테는 신나는 이벤트임에 분명하다. 햄버거를 비롯한 도시적인 음식도 먹고, 복잡하고 번잡한 도시의 거리를 만끽하기도 한다. 이번 걸음에서도 리앤박갤러리의 박옥희 관장님의 배려로 헤이리의 풍광속에서 맛난 식사와 향기로운 와인을 즐기는 호사를 누렸다.

내가 가질 수 있는 최고로 화려한 기억중의 하나를 사진으로나마 남기고싶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