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는 글자를 뒤집어 쓴 귀신이다.
유교적 덕목이라는 오래된 집에 사는 귀신이다.
그 집에 나의 자리는 없었다.
나는 슬며시 스며들어 나를 배척했던 그 집을 나의 것으로 만들었다.
이제 나는 禮이고 廉이고 義이다.


염(廉), 2010



(), 2010


의(義), 2010


문자도란 것이 있다.
조선 지배 이데올로기인 유교의 도덕관을 대표하는
8자의 한문자로 이루어진 그림이다.
초기에는 권력의 정당성을 확인하는
이데올로기적 장치로 지배양반계급에 의해 독점적으로 이용되었지만 ,
18세기 이후 신분질서의 경계를 넘어 민간에 보급되면서
민화화한 문자도로 완성된다.
문자도가 민화화함으로서 문화예술적 성격을 가진 장식물로 자리매김 된다.

유교적 도덕덕목을 나타내는
효(孝).제(悌).충(忠).신(信).예(禮).의(義).염(廉).치(恥) 여덟 글자는 바뀌지 않았지만
어느새 그 본령을 잊고 장식적 요소로 강등되어 일자무식한 여염집 사랑방을 장식하는
조형적 요소로 자리매김된 것이다.
 
그와 같은 문자도의 계급문화적 성격 변화는 
문자도가 가진 유교적 도덕관의 표현이라는 틀을 깨고,
글자의 획에 따라 연관된 고사속의 장면 등을 그려넣기도 하는 등
장식성이 강한 자유분방한 형식의 발전을 야기했다.
이렇게 문자도는 부가된 다양한 민화적 상상력을 통해
민중의 생활관념이나 정서, 신앙을 표현하는 하나의 예술적 매체로 자리잡는다.

하지만 대중화는 곧 '희소성을 기반으로한 고급문화'로 부터의 추방을 의미한다.
현대에 접어들면서 문자도는 시골 장터의 '혁필쟁이'를 통해
명맥이 유지되곤 했지만 그 빛을 잃어버린 게 사실이다.
 
류준화는 문자도의 민화적 상상력을
현대적 감수성을 통한 여성적 패러디에 이용한다.
죽은 문자도가 시대정신의 세례를 받고
유교적 덕목에서 철저히 배제된 여성적 가치와 더불어 부활한다.

그렇다고 류준화는 반 여성적인 유교적 덕목을
폭로하고, 모멸하고, 격하시키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배제된 여성성을, 근엄한 유교적 도덕관에 스며들게 한다.
그 무기는 다름아닌 색과 꽃과 여성적 선이다.
류준화는 문자도의 그 조형적 아름다움에 주목한다.
여성성이 배제된 유교적 덕목을 표현코자했던 문자도가
공교롭게도 가장 여성적 조형미를 담지하고 있다니,
이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섹션인종 - 작가 : 류준화 

 

인종은 지극한 효성과 너그러운 성품을 지녔으나 역대 조선왕 중 최단 기간 재위했던 불운한 왕이다. 어려서 생모인 장경왕후를 여의고 계비인 문정왕후에게 모정을 향한 애절함과 지극한 효성을 보여준다. 그는 조선왕도의 근간인 성리학을 중하게 여겼으며 선비의 고고한 성품을 지닌 왕이었다. 그러나 정치적인 알력과 문정왕후의 지속적인 계략 속에 일찍 삶을 마감했다. 특히 자신의 아내인 인성왕후를 사랑했음에도 불구하고 계모를 위해 스스로 절손하였는데, 문정왕후의 친자를 세자로 삼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류준화

류준화 작가는 인종의 효심과 고고함에 주목하였다. 문정왕후가 생모는 아니었지만 부모자식간의 도리를 다하였으며, 이기심과 모략의 덧없음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비롯한 지고한 희생과 초연함을 보였던 인물로 평가하였다. 작가는 전통적인 문자도를 작품형식의 토대로 삼아 작가적 시각을 담아내었으며, 인종의 선한 인간성과 타인에 대한 진정한 예의가 고통과 감내의 슬픔 속에 피어나는 꽃처럼 슬프지만 고운 빛깔로 구현되었다.

[출처] 섹션3 인종 - 류준화|작성자 고양아람미술관

<전시정보>


- 고양문화재단 아람미술관
- 왕릉의 전설전 
- 2010년3월18일 ~ 6월 13일
- 연계 프로그램으로 조선왕실문화와 전통제례문화 체험관 운영
- 조선왕조에 대한 학술 강연 진행 
- 일반 3천원, 19세 미만 2천원.
- 문의:(031)960-0180

 

반응형

+ Recent posts